본문 바로가기

'마음 추스리다' 맞춤법과 뜻, 제대로 알아보자

wellnessjourney31 2025. 2. 16.
반응형

 

마음 추스리다, 그 맞춤법과 뜻을 제대로 알아보자




추스르다와 추수리다,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많은 분들이 '추수리다'와 '추스르다'를 혼동하시는데요. 사실 이 두 단어는 완전히 다른 말이에요. '추스르다'는 표준어이지만, '추수리다'는 잘못된 표현이죠. '추스르다'는 1) 추어올려 다루다, 2) 몸을 가누어 움직이다, 3) 일이나 생각 따위를 수습하여 처리하다 등의 뜻을 가지고 있어요. 반면에 '추수리다'는 아예 표준어가 아니라고 합니다.

왜 이렇게 헷갈리는 걸까요?

우리말에는 발음이나 철자가 비슷한 단어들이 많아서 그런 것 같아요. 하지만 정확한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겠죠? 앞으로는 '추수리다' 대신 '추스르다'를 사용하는 게 좋을 것 같네요.

'추스르다'의 다양한 용례

'추스르다'는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데요. 예를 들어 이런 식으로 쓸 수 있어요.
- 업고 있던 아이를 추스르다.
- 정신을 추스르고 사태를 수습해야지.
- 기운이 빠져 몸을 추스르지 못하였다.
- 그는 자신의 마음을 추스렸다.
이처럼 '추스르다'는 몸이나 마음, 상황 등을 정돈하고 정리하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해가 되시나요?

'추수르다', '추수리다', '추슬리다' 등은 잘못된 표현

'추수르다', '추수리다', '추슬리다' 등의 표현도 종종 쓰이지만, 이는 모두 잘못된 표기입니다. 표준어는 오직 '추스르다'뿐이에요.
혹시 여러분도 이런 식으로 표현했던 적이 있나요? 걱정하지 마세요. 이제부터는 '추스르다'를 정확하게 사용하시면 됩니다. 우리말의 맞춤법과 용법을 제대로 익히는 것이 중요하죠.

마무리

오늘 살펴본 바와 같이, '추수리다'는 잘못된 표현이며 '추스르다'가 표준어입니다. '추스르다'는 몸이나 마음, 상황 등을 정돈하고 정리하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앞으로는 '추수르다', '추수리다', '추슬리다' 등의 표현 대신 '추스르다'를 사용하세요.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지키기 위해서는 정확한 표현이 중요하니까요. 여러분도 이제 '추수리다'의 맞춤법과 뜻을 완벽하게 알고 계시죠?

반응형

댓글